관련 자료실
- 홈
- 정신건강
- 관련 자료실
제목 | 우울장애의 특징과 발달경과 |
---|---|
주요 우울장애의 진단적 특징
- 주요 증상: 최소 2주간의 우울한 기분(우울한 기분이 하루의 대부분, 거의 매일 존재), 거의 모든 활동에 대하여 흥미나 즐거움의 상실(진단기준A) - 진단기준의 증상들은 거의 매일 존재해야함(체중 변화, 자살사고 제외) - 피로와 수면장해는 주요우울장애에서 높은 비율 차지 - 다음 목록에 포함된 증상 가운데 최소한 네 가지의 부가적 증상 경험해야함: 식욕, 체중, 수면, 정신운동활동에 있어서의 변화; 감소된 에너지, 무가치감, 죄책감; 생각하고, 집중하고, 결정내리기 어려움; 반복되는 죽음에 대한 생각 또는 자살 생각 또는 자살 계획 및 시도 - 주요우울증 삽화가 진단 내려지기 위해서는 증상이 새롭게 나타나거나, 또는 개인의 삽화 이전 상태와 비교하여 명백하게 악화된 상태여야 함 - 증상은 하루의 대부분, 거의 매일, 적어도 연속되는 2주 동안 지속 - 삽화는 사회적, 직업적, 또는 기타 중요한 영역에서 임상적으로 심각한 고통이나 장해를 일으켜야 함. 보다 가벼운 정도의 삽화가 있는 개인들을 보면, 정상적으로 기능하는 것처럼 보이지만 그러한 상태를 유지하기 위해서는 아주 많은 노력이 요구됨 - 진단기준A 1. 우울하고, 슬프고, 희망이 없고, 실망스럽거나 의기소침 · 처음에는 슬픔 부인 but, 면담에 의해 슬픔 드러남(얼굴 표정, 태도로 짐작) · 어떤 개인은 슬픔의 기분을 보고하기보다는 오히려 신체적 불편(예: 통증)강조 · 소아, 청소년: 슬프거나 낙담스런 기분보다는 지나치게 민감하거나 까다로운 기분(좌절되었을 때 쉽게 화를 내는 방식과 구별되어야 함) 2. 흥미나 즐거움의 상실 · 취미에 대한 흥미가 이전보다 현저히 감소 · 다른 사람에 의한 객관적인 관찰에서 드러남(예: 축구를 즐기던 아이가 운동하지 않으려고 변명거리를 찾는다) · 성적관심, 욕구 감소 3. 식욕 및 체중 변화(감소 또는 증가) · 소아: 예상된 체중 증가가 나타나지 않기도 함 4. 수면장해 · 초기 불면증(즉, 잠들기 어려움); 중기 불명증(즉, 밤사이 일단 깨고 나면 다시 잠들 수 없다); 말기 불면증(즉, 너무 일찍 깨고 다시 잠들 수 없다) · 과수면(수면과다): 밤에 잠자는 시간 및 낮잠 시간↑ · 수면장해가 치료를 원하는 이유가 됨 5. 정신 운동 변화 · 정신운동성 초조(예: 계속 앉아 있지 못함, 걷기, 손 꽉쥐기; 피부, 옷 다른 물건을 잡아당기거나 문지르기) or 지체(예: 말, 사고, 몸의 느린 움직임; 대답하기 전 침묵하는 시간이 길어짐; 음량, 음조, 양의 감소, 말의 내용이 다양하지 못함, 또는 말이 없음) · 다른 사람들에 의해 관찰될 수 있을 만큼 심한 것이어야 함(주관적 느낌X) 6. 에너지 저하, 피로, 활력 상실 · 신체적 운동을 하지 않는데도 피곤하다고 호소; 아주 작은 일에도 상당한 노력 요구 7. 무가치감, 죄책감 · 부정적인 자기평가, 죄의식에의 집착, 사소한 과거의 실패에 대한 반추 포함 · 무가치감이나 죄책감이 망상적인 것일 수 있음(예: 세계의 빈곤이 자신의 잘못 때문이라고 확신)⇒ 우울증 상태에서는 스스로를 비난하는 일이 매우 흔하므로 망상적인 경우가 아니라면 망상의 진단기준을 충족시키고 있다고 간주X 8. 사고력, 집중력 감소 및 우유부단함 · 정신 산만, 기억력 저하 호소 · 소아: 학교 성적의 갑작스런 하락 · 나이 든 개인: 주로 기억력 장해 호소, 이는 치매의 초기 징후로 오해될 수 있음(가성치매), but 때때로 치매의 초기 현상일 수 있음 · 주요 우울증 삽화가 성공적으로 치료된다면 기억력 장해 대부분 완화 9. 죽음에 대한 생각, 자살생각, 자살시도 - 주요우울증삽화의 증상이 일반적인 의학적 상태에 있는 개인에게 발생될 때 평가 어려움(예: 암, 뇌졸중, 심근 경색증, 당뇨병); 주요 우울증 삽화의 일부 진단기준은 일반적인 의학적 상태의 특징적 징후나 증상과 동일(예: 치료되지 않은 당뇨병으로 인한 체중 감소; 암으로 인한 피로감 등)⇒ 일반적인 의학적 상태에 의해 명확하고 충분하게 설명되는 경우를 제외하고는 주요 우울증 삽화로 간주 발달과 경과 - 어떤 연령에서도 나타날 수 있지만, 사춘기 때 발병多 - 경과는 다양함 - 증상이 최근에 발현된 것인지 만성 우울장애가 악화되어 나타나는 것인지 구별 중요 · 만성 우울증상: 성격, 불안, 물질사용장애 가능성↑, 회복가능성↓ - 장애의 최근(최신)발병: 단기 회복 가능성의 중요 결정요인; 몇 개월 정도의 우울 증상을 보인 개인은 자발적 회복 기대됨 - 낮은 회복률 관련 요인: 현재 삽화의 기간, 정신증적 양상, 불안, 성격장애, 증상의 심각도 - 재발 위험률: 관해기가 길어질수록 재발 위험률↓(관해기 동안 가벼운 우울증상의 지속성은 재발↑) · 재발 위험 높은 집단: 젊은 층에서 이전에 심각한 삽화를 경험한 사람, 이미 복합적 삽화를 경험한 사람 - 양극성 장애: 하나 이상의 우울삽화 가짐; 초기 MDD를 가진 개인 비율↑ · 가족력, 정신증적 양상, 청소년기에 발병한 개인 양극성 장애 발병 가능성↑ - 혼재성 양상이 있는 세부진단: 조증 또는 경조증 위험률↑ - 정신증적 양상을 가지는 MDD: 조현병으로의 이환 가능성 있음(역으로 이루어지는 것보다 더 빈번) - 젊은 층: 과수면, 과식; 나이 든 층: 멜랑콜리아melancholic 증상, 정신운동장해 - 자살시도 가능성: 중년, 노년↓ - 조기발병: 가족력, 성격장해 포함 가능성↑ - 주요우울장애의 경과는 노화에 따라서 달라지지 않음 지속성 우울장애의 진단적 특징 - 주요 증상: 적어도 2년 동안 우울 기분이 없는 날보다 있는 날이 더 많고, 하루의 대부분 지속되는 만성적인 우울한 기분; 아동 및 청소년의 경우 1년(진단기준A) - 지속성 우울장애 = 만성 주요우울장애 + 기분부전장애(DSM-IV) - 주요우울증은 지속성 우울장애에 선행할 수 있으며, 주요우울증삽화는 지속성 우울장애 동안 나타남 - 주요우울장애의 진단기준을 2년 동안 충족시키는 개인은 지속성 우울장애뿐 아니라 주요우울장애도 진단 - 조기 발병 시(예: 나는 항상 이래 왔어.“), 직접적으로 묻지 않는다면 보고되지 않는 경우 多 발달과 경과 - 조기에 서서히 발병(예: 소아기, 청소년기, 초기 성인기), 만성적 - 조발성(21세 이전)의 경우 성격장애, 물질사용장애 공병 가능성↑ - 주요우울삽화의 증상 수준이 올라갈 때 증상이 다시 나아질 확률↓ |
|
파일 |
- 이전글 우울장애의 치료방법
- 다음글 우울장애의 원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