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대 타임즈

Total

  • 청대 타임즈
  • Total
Total 상세보기, 제목, 카테고리, 내용, 파일등의 정보를 제공합니다.
제목 [No.239 Campus Story] A Night Shining with Youth: The Second Day of the Woouam Daedong Festival at Cheongju University
카테고리 CampusStory
A Night Shining with Youth: The Second Day of the Woouam Daedong Festival at Cheonju University
 
Cheongdae Times Newspaper Junior Reporter Eunhye Go, Shinhui Park
 
In May, with the warm spring breeze blowing, a festival where everyone could come together and enjoy was held at our university. Our university’s representative festival, “Uam Daedongje,” has become a major community event where not only students of our university but also citizens of Cheongju come together and participate. It is a special time to laugh, have fun with friends, and create unforgettable memories. What did this year’s Uam Daedong Festival look like as it came to us?
 
The 2025 Uam Daedong Festival was hosted by the 58th Student Council of our university, “The Fighting,” and was held over two days, from May 20 to May 21, 2025, around the Cheongju University Sports Complex
▲ The image above shows the Uam Daedong Festival guide map posted on social media by Cheongju University’s 58th Student Council, “The Fighting.” / Photo = Cheongju University 58th Student Council “The Fighting” Instagram
(https://www.instagram.com/cju_the_fighting/)
 
Under the theme “We: Cheong FESTA (We + Cheongju, a festival for all of us),” students and local residents came together to create an even more special atmosphere. The festival took place around the Cheongju University Sports Complex and was designed as an open event where anyone could freely participate.
 
For this festival, a dress code featuring the university’s symbolic blue color was suggested, encouraging participants to enjoy the event wearing blue or white clothes and accessories. The dress code was optional, not mandatory, and some participants embraced it, adding color to the festival’s atmosphere.
▲ Above is the image of the dress code guide for the Uam Daedongje Festival posted on SNS by the 58th student council "The Fighting" of Cheongju University. / Photo by Cheongju University 58th "The Fighting" Student Council Instagram
(https://www.instagram.com/cju_the_fighting/)
 
During the event, our university strictly controlled vehicle access and worked closely with the police and medical teams to provide traffic guidance and prepare for emergencies, ensuring the safety of citizens and smooth management of the festival.
 
The festival successfully began on the first day with a variety of programs. On the following day, the 21st, various club performances heated up the stage, followed by congratulatory performances by popular singers like Woody, Maydin, Miyao, and QWER, adding more excitement to the festival.
Additionally, this article will highlight various attractions of our university festival, including the student-run stalls (road shops & flea markets), the table zones where friends could relax together, and the food truck zones offering a variety of foods.
▲ The above is an image of the timetable for the second day of the Woam Daedong Festival, posted on social media by Cheongju University’s 58th student council, “The Fighting.” / Photo credit: Cheongju University 58th “The Fighting” Student Council Instagram
(https://www.instagram.com/cju_the_fighting/)
 
This article was written not just as a simple event guide, but so that everyone who participated in the festival can recall the joyful memories of that day. Additionally, as a reporter and a student of Cheongju University, I wanted to convey the vivid atmosphere I experienced at the festival to the readers.
I hope this article brings another moment of joy to those who participated in the festival, and offers those who couldn’t attend a chance to feel the atmosphere indirectly.
▲ Above is a photo of the students from the 58th Student Council of the College of Humanities and Social Sciences, “Gaehwa,” conducting vehicle control.
 
As the 2025 Uam Daedong Festival was an open event held together with Cheongju citizens, large crowds gathered around the Cheongju University main stadium area. Accordingly, the student council restricted the entry of vehicles and electric mobility devices during the festival period, prioritizing the safety of the citizens above all.
Traffic control was directly handled by members of the student council, and the police and community police collaborated to patrol the roads and provide guidance. However, the task of controlling vehicle access was entirely led and managed by the student council.
 
Kim Woo-kyung, a sophomore majoring in Journalism and Broadcasting and a member of the “Gaehwa” Student Council of the College of Humanities and Social Sciences, shared his experience while volunteering for traffic control.
 
Q. What has been the most difficult part of volunteering for students and citizens?
"We're in charge of stopping cars, motorcycles, electric scooters, and electric bicycles. But some people just ignore the control and pass through, and in extreme cases, we even get verbal abuse or swearing, which is the hardest part.“
 
Q. Could you please tell us why you continue volunteering despite such situations, and what you have felt through the vehicle control volunteering?
‘We sometimes get scolded for stopping people, but since there are many pedestrians on the road, if electric scooters or vehicles pass by quickly, the risk of accidents is very high. So what we do is for the safety of both citizens and students. It’s hard, but rewarding, and I hope people understand that it is the minimum measure to safely enjoy the festival.
 
The student council aimed to contribute to a safer and more orderly festival through this traffic control activity, and it was a moment that highlighted the efforts of those who quietly took responsibility behind the scenes.
 
 
 
▲ The above photo shows people participating in the festival using the Table Zone.
 
During the festival, a ‘Table Zone’ was set up around Cheongju University’s main stadium where attendees could freely sit and rest. The Table Zone operated from 1 PM until midnight, and users were instructed to sit in designated seats as guided by the staff on site. However, bringing outside alcohol or food was prohibited, and users were expected to clean up their tables and sort their trash at the Clean Booth afterwards.
The student council asked for cooperation by emphasizing that ‘tidying up the space for the next users is an important etiquette when using the Table Zone.’
 
Kim Junhyun, a student from the Department of Electronic Engineering, class of 2020, shared his thoughts on using the Table Zone as follows.
 
Q. What made you decide to use the Table Zone, and if you have any good points or regrets about it, please tell us.
“I decided to use the Table Zone to enjoy the festival while satisfying my slight hunger with my friends. However, I think it would have been better if there had been shaded tents.”
 
In this way, the Table Zone provided a space where many students could enjoy simple meals with friends and take a moment to rest.
 
Around the Table Zone, a “Clean Booth” was set up to assist with the separation and disposal of waste generated during the festival.
This booth was run by the student council on a 30-minute rotation schedule, with local citizen volunteers also joining in to help with sorting and organizing.
 
Kim Min-young, a 2024 student majoring in Aviation Service from the direct department student council 'Cheonhwa,' volunteered at the clean booth and shared the following thoughts.
 
Q. What is the role of the clean booth? Also, could you share any difficulties you faced while volunteering, your thoughts on the activity, and any message you'd like to give to students?
“The clean booth helps with sorting and recycling trash generated at the festival site, making waste disposal easier.
There isn’t anything especially difficult, but it would be really helpful if people sort their trash beforehand when bringing it.
"I’m participating with a volunteer spirit, and whenever it gets tough, seeing others help first actually makes me feel grateful.
This activity made me determined to practice recycling more in my daily life.“
 
It was a scene that conveyed the message that a beautiful cleanup with consideration is as important as the joy of enjoying the festival.
 
 
 
▲ Above is a photo of people enjoying the stalls at the festival.
 
Our university’s Uam Daedongje festival was not limited to performances and food; it became a more vibrant and diverse festival through the ‘Student Roadshop and Flea Market (Stalls)’ program, which was planned and operated directly by students.
The Student Council provided prior notice outlining the criteria and procedures required for operating the stalls.
The operation of the student-run road shops and flea markets this time was carried out by teams selected through prior screening by the Student Council.
Students who wished to participate had to submit an application form outlining their plan for operating a stall in advance. Based on this, the Student Council reviewed the content and suitability of the stalls and selected the final participating teams.
In particular, stalls related to food sales or gambling games were restricted to prioritize the safety of the festival and proper management.
The final selection results and stall assignments were communicated through individual notices, enabling participating students to complete their preparations smoothly on the day of the festival.
 
Various stalls featuring unique ideas directly planned by departments or teams, such as 'Click! It's done.', 'Boom! Bam! Civil Engineering takes the stage!', and 'Aki Tattoo', were set up, making the festival livelier and attracting the attention of visitors.
The reporter herself also experienced sticker tattoos at the ‘Aki Tattoo’ stall, personally feeling the atmosphere of the event.
 
In this way, the stalls became more than just sales spaces; they established themselves as another central part of the festival, filled with students’ creativity and autonomy. Citizens and outside visitors could also fully feel the energy and dedication of our university’s students through this space.
The food court, located in close proximity to the booths, was filled with the delicious smells of various foods, adding to the festive atmosphere. Tteokbokki, takoyaki, yakisoba, and more were on the menu. The ice cream trucks were especially popular on the hot day, with long lines forming at their stalls.
▲Above is a picture of students using a food truck.
 
Minseo Park, an Advertising and Public Relations student from the class of 2024, gave a detailed account of her visit to the food truck.
Q. What did you like and dislike about the food truck experience?
“One thing I really liked was that the food trucks offered a wide variety of dishes, not just limited options. Sharing different foods with friends created great memories, and enjoying the food made the festival even more enjoyable. Honestly, I didn’t dislike anything.”
 
Therefore, the food trucks were a great addition to the festivities, providing a variety of tasty food and playing a significant role in creating a fun and memorable atmosphere.
 
The performance was held on the sports field, and the audience enjoyed the show in various ways, such as sitting on mats and lawn chairs. The separate ‘Student Zone’ was exclusive to students for a set period, after which it opened to the general public, welcoming more visitors. Before the guest singer's performance, all available seating—including those in the designated Student Zone—was filled to capacity, thereby creating a festive atmosphere.
▲Above is a picture of students using the playground before the performance.
 
Before the main event, various university clubs took the stage to showcase vibrant performances, culminating in a high-energy finale by the dance club "ABLE," which electrified the atmosphere.
▲Above is the first part of the club's performance, singing a duet.
 
Jung Yoon-seo, a member of ABLE—the university's dance club—and a 2021 Aeronautical and Mechanical Engineering major, shared her thoughts about preparing for the performance.
Q. What kind of show are you preparing for?
“We are preparing for a dance performance.”
 
Q. What inspired you to participate in the show and how did you prepare for it?
"As I enter my final semester, I am motivated by the opportunity to create cherished memories. I approach each performance with enthusiasm and dedication.“
 
Q. What are you looking forward to about the show?
“I hope it's well-received and I hope the students like what we have in store for them.”
 
The audience met ABLE's expectations. Following the performance, both the song selection and stage production received positive feedback. ABLE and the other participating university clubs were warmly received by the crowd.
 
The club performances highlighted the talents of various student groups and revealed that many hidden abilities exist on campus. The diverse and colorful performances instilled a sense of pride and belonging among students, while also offering the local community a glimpse into the university’s vibrant culture and the capabilities of its students. Sharing the stage with current students made the event all the more meaningful.
 
The student performances were followed by special guest appearances. The festival opened with a DJ set that intensified the already energetic atmosphere. Next up was ‘In A Minute,’ who performed both their original songs and popular covers for the crowd to enjoy. Unexpectedly, rapper ‘THE ARK,’ not originally on the lineup, made a surprise appearance and was warmly welcomed by the audience. His powerful raps captivated the crowd, heightening anticipation for the acts to come.
 
Next on stage was singer Woody, known for his sweet voice. Using his gentle vocals, he led the audience in singing along to several popular songs, giving them a brief, soothing break amid the lively festivities. Woody’s emotional and captivating performance left a lasting impression on the audience before the rest of the show continued.
 
The show continued, and the excitement in the room was unrelenting. MEOVV, a group known for their unique musical style and skillful performances, completely dominated the stage with an enhanced performance that day. With their intense yet focused stage presence, they captivated the audience and left a lasting impression long after the show ended. MEOVV’s personalized stage direction and palpable energy contributed significantly to the festive atmosphere.
 
Last up on stage was the band-based group QWER. They were the only group to perform with a band that day, and their colorful instrumentation and dynamic sound brought fresh energy to the performance, enhancing the festival atmosphere.
 
Their fan club, “Rift Scuttlers,” was visible throughout the festival, even before the show began. One of the most memorable moments was when Rift Scuttlers vigorously waved QWER flags and chanted in unison as the performance kicked off. This enthusiastic support went beyond typical fandom and helped amplify the festival’s energy. Fans and audience members actively joined in by singing along to QWER’s cheers, contributing to the unity and excitement of the event. QWER’s performance left a lasting impression not only through their music but also through their engaging interaction with fans, making the entire festival a memorable experience.
 
The festival’s diverse performances contributed to its vibrancy and appeal. The audience experienced a range of emotions and created lasting memories, making the event an unforgettable moment that united both participants and spectators.
 
This year's Uam Daedongje Festival at our university was a celebration filled with passion, engagement, and unity. The moments of laughter, singing, and enthusiasm shared by students and citizens made it more than just a festival—it became a lasting memory for everyone. This community-created festival will continue to be a proud tradition for our university, generating excitement and anticipation for many more years to come.




청춘이 빛나는 밤, 청주대학교 우암대동제 둘째 날 현장

 

청대타임즈신문사 수습기자 고은혜, 박신희

 

따뜻한 봄바람이 부는 5, 우리대학교에서는 모두가 하나 되어 즐길 수 있는 축제가 열렸다. 우리대학교의 대표 축제인 우암대동제는 우리대학교 학생들뿐 아니라 청주시민들도 함께 참여하는 지역 공동체의 큰 행사로 자리 잡았다. 친구들과 어울려 웃고 즐기며, 잊지 못할 추억을 만드는 특별한 시간. 올해 우암대동제는 어떤 모습으로 우리 곁에 다가왔을까?

 

2025 우암대동제는 우리대학교 제58대 총학생회 더 파이팅이 주관하며, 2025520일부터 521일까지 이틀간 우리대학교 종합운동장 일대에서 진행되었다.

 

위는 청주대학교 제58'더 파이팅' 총학생회가 SNS에 게시한 우암대동제 안내도 이미지이다./ 사진=청주대학교 제58'더 파이팅' 총학생회 인스타그램

(https://www.instagram.com/cju_the_fighting/)

 

‘We:FESTA(We+청주, 우리 모두 함께하는 축제)’라는 주제로, 학생들과 지역 주민들이 함께 어우러져 더욱 특별한 분위기를 만들어냈다. 축제는 청주대학교 종합운동장 일대에서 진행되었으며, 누구나 자유롭게 참여할 수 있는 열린 축제로 꾸며졌다.

이번 축제에서는 우리대학를 상징하는 파란색을 드레스코드로 제안하며, 파란색 또는 흰색의 의상과 소품으로 축제를 즐겨보자는 취지가 더해졌다. 드레스코드는 필수가 아닌 선택사항이었으며, 일부 참여자들이 이를 반영해 축제 분위기에 색을 더했다.

 

위는 청주대학교 제58'더 파이팅' 총학생회가 SNS에 게시한 우암대동제 드레스코드 안내 이미지이다./ 사진=청주대학교 제58'더 파이팅' 총학생회 인스타그램

(https://www.instagram.com/cju_the_fighting/)

 

행사 기간 동안 우리대학는 시민들의 안전과 질서 있는 행사 운영을 위해 차량 진입을 통제하고, 경찰과 의료진의 협조를 받아 교통 안내와 비상 상황에 대비하는 등 만전을 기했다.

 

첫째 날은 다채로운 프로그램과 함께 축제가 성공적으로 시작되었다. 이어서 둘째 날인 21, 다양한 동아리 공연이 무대를 달궜고, 우디·메이딘·미야오·QWER 등 인기 가수들의 축하공연이 이어져 축제의 열기를 더했다.

또한 본문에서는 이와 함께 운영되었던 재학생들이 운영한 좌판(로드샵 & 플리마켓), 친구들과 함께 쉬어 갈 수 있었던 테이블존, 다양한 먹거리를 즐길 수 있었던 푸드트럭존 등 청주대학교 축제의 다양한 즐길 거리들을 하나하나 조명할 예정이다.

 

위는 청주대학교 제58'더 파이팅' 총학생회가 SNS에 게시한 우암대동제 둘째 날 Time table 이미지이다./ 사진=청주대학교 제58'더 파이팅' 총학생회 인스타그램

(https://www.instagram.com/cju_the_fighting/)

 

이 기사는 단순한 행사 안내를 넘어, 축제를 함께한 모든 이들이 그날의 즐거운 기억을 다시 떠올릴 수 있도록 작성되었다. 또한, 기자이자 청주대학교 학생으로서 직접 축제에 참여하며느낀 생생한 분위기를 독자에게 전하고자 했다.

축제에 참여한 이들에게는 다시 한 번 웃을 수 있는 시간을, 참여하지 못한 이들에게는 이 기사를 통해 축제의 분위기를 간접적으로나마 느낄 수 있는 기회가 되길 바란다.

 

 

위는 제 58대 인문사회대학 학생회 개화학생들이 차량 통제를 하고 있는 모습이다.

 

이번 우암대동제는 청주시민과 함께하는 열린 축제인 만큼, 많은 인파가 청주대학교 종합운동장 일대로 몰렸다. 이에 따라 학생회는 축제 기간 동안 차량과 전동 이동수단의 진입을 통제하며 시민의 안전을 최우선으로 고려한 운영을 이어갔다.

교통 통제는 학생회 관계자들이 직접 맡아 진행하였으며, 경찰과 시민경찰이 함께 협력하여 도로 순찰과 안내를 병행했다. 그러나 차량 통제 업무는 전적으로 학생회 측에서 주도하여 운영되었다.

 

인문사회대학 학생회 개화소속, 신문방송학과 24학번 김우경 학생은 교통 통제 자원봉사에 참여하며 다음과 같은 이야기를 들려주었다.

Q. 학생들과 시민들을 위해 봉사하시면서 힘든 부분은 무엇인가요?

저희는 차량, 오토바이, 전동 킥보드, 전동 자전거 등을 막는 역할을 하고 있어요. 그런데 통제에 따르지 않고 그냥 지나가시는 분들도 계시고, 심한 경우 막말이나 욕설을 듣기도 해서 그럴 때가 가장 힘듭니다.”

 

Q. 그런 상황에서도 계속 봉사를 이어가는 이유와 차량통제 봉사를 통해 느끼신 점이 있다면 말씀해주세요.

막는다고 욕을 먹기도 하지만, 도로에는 사람이 정말 많이 다니기 때문에 전동 킥보드나 차량이 빠르게 지나가면 사고 위험이 너무 커요. 그래서 저희가 막는 건 시민들과 학생 모두의 안전을 위한 일이에요.

힘들긴 해도 보람도 있고, 축제를 안전하게 즐기기 위한 최소한의 조치라는 걸 이해해주셨으면 좋겠습니다.”

 

학생회는 이번 교통 통제 활동을 통해, 보다 안전하고 질서 있는 축제를 만드는 데 기여하고자 했으며, 보이지 않는 곳에서 묵묵히 책임을 다하는 이들의 노력이 돋보이는 순간이었다.

 

 

 

 

위는 축제에 참여한 사람들이 테이블존을 이용하고 있는 사진이다.

 

축제 기간 동안 청주대학교 종합운동장 일대에는 자유롭게 앉아 쉴 수 있는 테이블존이 마련되었다. 테이블존은 오후 1시부터 밤 12시까지 운영되었으며, 이용 시에는 현장에 배치된 스태프의 안내에 따라 지정된 자리에 착석하면 되었다. , 외부 주류 및 외부 음식 반입은 금지되었으며, 이용 후에는 테이블을 깨끗이 정리하고 쓰레기는 클린부스를 이용해 분리배출하는 것이 원칙이었다.

학생회는 다음 이용자를 위해 자리를 정돈해주는 것이 테이블존 이용의 중요한 에티켓이라며 협조를 당부했다.

 

전자공학과 20학번 김준현 학생은 테이블존을 이용한 소감을 다음과 같이 전했다.

Q. 테이블존을 이용하시게 된 계기와 좋은 점이나 아쉬운 점이 있다면 말씀해주세요.

친구들과 함께 출출한 허기를 채우며 축제를 즐기고 싶어서 테이블존을 이용하게 되었습니다. 다만, 그늘진 천막이 있었으면 더 좋았을 것 같아요.”

 

이처럼 테이블존은 친구들과 함께 간단한 음식을 즐기며 쉴 수 있는 공간으로, 많은 학생들에게 잠시 쉬어갈 수 있는 여유를 제공했다.

 

테이블존 주변에는 축제 현장에서 발생하는 쓰레기의 분리수거를 돕기 위한 클린부스가 마련되어 있었다.

이 부스는 30분 간격으로 학생회가 로테이션을 돌며 운영하였으며, 인근에서는 시민 자원봉사자들도 함께 참여해 정리와 분류 작업을 도왔다.

 

직할학부 총학생회 천화소속, 항공서비스학과 24학번 김민영 학생은 클린부스에서 봉사하며 다음과 같은 소감을 전했다.

Q. 클린부스의 역할은 무엇인가요? 그리고 봉사하면서 힘들었던 부분과 활동 소감, 학생들에게 해주고 싶은 말이 있으시다면 말씀 부탁드립니다.

클린부스는 축제 현장에서 나오는 쓰레기를 쉽게 처리할 수 있도록 분리수거를 돕는 역할을 해요.

특별히 힘든 점은 없지만, 더 원활하게 도와드리기 위해서는 쓰레기를 가져오실 때 미리 분류해서 주시면 정말 감사할 것 같아요.

자원봉사 정신으로 참여하고 있는데, 힘들 때마다 먼저 도와주시는 분들을 보면 오히려 제가 감사함을 느껴요.

이번 활동을 통해 일상에서도 분리수거를 더 실천해야겠다는 다짐을 하게 되었습니다.”

 

축제를 즐기는 즐거움만큼이나, 정리와 배려를 통한 아름다운 뒷마무리도 중요하다는 메시지를 전하는 현장이었다.

 

 

 

 

위는 축제에 참여한 사람들이 좌판을 즐기고 있는 모습이다.

 

우리대학교 우암대동제는 단순히 공연과 먹거리에 그치지 않고, 학생들이 직접 기획하고 운영하는 재학생 로드샵 및 플리마켓(좌판)’ 프로그램을 통해 더욱 다채롭고 생동감 넘치는 축제로 거듭났다.

총학생회는 사전 공지를 통해 좌판 운영에 필요한 기준과 절차를 안내했다.

이번 재학생 로드샵 및 플리마켓 운영은 총학생회의 사전 심사를 통해 선정된 팀들에 의해 이루어졌다.

참여를 희망하는 학생들은 사전에 좌판 운영 계획을 담은 신청서를 제출해야 했으며, 총학생회는 이를 바탕으로 좌판의 내용과 운영 적절성을 검토해 최종 참여 팀을 선발했다.

특히 음식물 판매나 사행성 게임과 관련된 좌판은 운영이 제한되어, 축제의 안전성과 건전한 운영을 최우선으로 고려했다.

최종 선정 결과와 좌판 자리 배정은 개별 공지를 통해 안내되었으며, 참여 학생들은 이를 바탕으로 축제 당일에 원활하게 준비를 마칠 수 있었다.

 

딸깍 눌렀수다’, ‘우당탕탕 건공’, ‘아키타투등 각 학과나 팀이 직접 기획한 학생들의 톡톡 튀는 아이디어가 반영된 다양한 좌판들이 열려, 축제장을 더욱 활기차게 만들고 방문객들의 눈길을 끌었다.

기자 본인 역시 아키타투좌판에서 스티커 타투를 체험하며 현장의 분위기를 직접 느낄 수 있었다.

 

이처럼 좌판은 단순한 판매 공간을 넘어, 학생들의 창의성과 자율성이 담긴 축제의 또 다른 중심 공간으로 자리매김했다. 시민들과 외부 방문객들 역시 이 공간을 통해 우리대학교 학생들의 에너지와 정성을 고스란히 느낄 수 있었을 것이다.

 

 

좌판 옆에 마련된 푸드코트에서는 다양한 음식 냄새가 퍼지며 축제의 열기를 한층 끌어올렸다. 떡볶이, 타코야키, 야끼소바 등 다채로운 메뉴가 준비되었으며, 특히 무더운 날씨 속 아이스크림을 판매하는 푸드트럭 앞에는 긴 줄이 늘어설 정도로 인기를 끌었다.

 

 

위는 푸드트럭을 이용하는 학생들의 모습이다.

 

광고홍보학과 24학번 박민서 학생은 푸드트럭을 이용한 소감을 다음과 같이 전했다.

Q 푸드트럭을 이용하면서 좋았던 점과 아쉬웠던 점이 있었나요?

우선 좋았던 점은 푸드트럭 음식이 한정적이지 않고 다양해서 좋았어요. 친구들이랑 이것저것 나눠 먹으면서 자연스럽게 추억도 쌓을 수 있었던 것 같고 먹는 재미 덕분에 축제가 더 즐겁게 느껴졌던 거 같아요. 그리고 아쉬웠던 점은 없었어요.“

 

이처럼 푸드트럭은 학생들에게 먹는 즐거움을 선사하며 축제의 분위기를 한층 더 끌어올렸고, 잊지 못할 즐거운 추억을 만드는 데 큰 역할을 했다.

 

 

공연은 종합운동장에서 진행되었으며, 관람객들은 돗자리를 깔고 앉거나 운동장 의자에 착석하는 등 다양한 방식으로 공연을 즐겼다. 별도로 운영된 재학생 존은 일정 시간까지는 재학생만 입장할 수 있었고, 이후에는 일반 시민에게도 개방되며 더 많은 관람객을 맞이했다. 특히 초청 가수의 축하 공연이 시작되기 전, 재학생 존을 포함한 모든 좌석은 관객들로 가득 메워져 축제의 열기를 실감케 했다.

 

위는 공연 시작 전부터 학생들이 운동장 이용하는 모습이다.

 

본 공연에 앞서 우리 대학에서는 여러 동아리 팀이 무대에 올라 다채로운 무대를 선보였으며, 마지막 순서로 무대에 오른 댄스 동아리 에이블이 화려한 퍼포먼스로 공연의 분위기를 최고조로 이끌었다.

 

 

위는 동아리 공연의 첫 시작으로 듀엣곡을 부르는 모습이다.

 

우리 대학 댄스 동아리 에이블 소속 항공기계공학과 21학번 정윤서 학생은 공연을 준비하는 소감을 다음과 같이 전했다.

Q 어떤 공연을 준비하고 있으신가요?

저희는 댄스 공연을 준비하고 있습니다.”

 

Q 공연을 참가하게 된 계기와 어떤 마음으로 공연을 준비하게 되었나요?

저는 이제 마지막 학기를 앞두고 있어서 좋은 추억을 남기기 위해 공연에 참가하게 되었습니다. 공연은 항상 설레는 마음으로 준비하고 있습니다.”

 

Q 공연에서 기대되는 점이 있으신가요?

호응이 많았으면 좋겠고 저희가 준비한 공연을 학생분들이 좋아해 주셨으면 좋겠어요.“

 

관객들은 에이블의 기대에 부응하듯 뜨거운 호응을 보였다. 공연이 끝난 후에는 노래 선곡이 좋았다는 평가와 함께, 무대의 완성도가 높았다는 호평이 나왔다. 에이블뿐만 아니라 이번 행사에 참여한 우리 대학의 다른 동아리 공연들 또한 관객들로부터 뜨거운 반응을 얻었다.

 

 

동아리 공연을 통해 우리 대학 학생들은 다양한 재능을 가진 동아리들을 새롭게 인식하고, 교내에 숨은 인재들이 많다는 점을 실감할 수 있었다. 각기 다른 색깔의 무대는 학생들에게 자긍심과 소속감을 높여주는 계기가 되는 한편 지역 주민들에게는 우리 대학의 활기찬 문화와 학생들의 역량을 엿볼 기회가 되었다. 재학생과 함께한 이번 공연은 그 자체로 의미 있는 시간이 되었다.

재학생 공연에 이어 초청 연예인들의 축하 공연이 이어졌다. 디제잉 무대로 오프닝을 장식한 공연은 이미 달아오른 열기를 더욱 고조시켰고, 뒤이어 무대에 오른 그룹 인어미닛은 자신들의 곡뿐 아니라 모두가 함께 즐길 수 있는 커버 곡도 선보이며 관객들과 함께 축제의 흥을 더했다. 이어진 무대에서는 사전 라인업에 없었던 래퍼 디아크가 깜짝 등장해 관객들의 환호를 받았다. 그는 랩을 통해 현장을 압도하며, 이후 펼쳐질 무대들에 대한 기대감을 높였다.

 

다음 무대에는 감미로운 음색으로 잘 알려진 가수 우디가 등장해 분위기를 전환했다. 부드러운 목소리로 대표곡들을 선보이며 관객들의 때창을 이끌었고, 고조된 축제 열기 속에 한 박자 쉬어갈 수 있는 여유를 선사했다. 우디의 무대는 감성적인 분위기로 관객들의 마음을 사로잡으며, 이어질 공연에 앞서 잔잔한 울림을 남겼다.

 

공연은 계속 진행되었으며, 현장의 열기는 식을 줄 몰랐다. 독특한 음악 스타일과 뛰어난 실력으로 주목받는 그룹 미야오는 이날 한층 업그레이드된 퍼포먼스로 무대를 완벽하게 장악했다. 강렬하면서도 세심한 무대 매너로 관객들의 시선을 집중시켰으며, 공연이 끝난 뒤에도 오랫동안 기억에 남을 감동을 선사했다. 특히 미야오만의 개성이 돋보이는 무대 연출과 에너지는 축제 분위기를 한층 고조시켰다.

 

마지막 무대로는 밴드를 중심으로 활동하는 그룹 ‘QWER’가 무대에 올랐다. 이들은 이날 공연한 그룹 중 유일하게 밴드를 사용하는 팀으로, 다채로운 악기 연주와 역동적인 사운드는 공연에 신선한 활력을 불어넣으며 축제 분위기를 한층 풍성하게 만들었다.

 

공연 시작 전부터 이들의 팬클럽인 바위게는 축제 현장 곳곳에서 눈에 띄었다. 특히 가장 인상 깊었던 장면은 팬들이 QWER의 깃발을 힘차게 흔들며, 무대가 시작되자 한마음으로 응원법을 외치는 모습이었다. 이러한 열정적인 응원은 단순한 팬 활동을 넘어 축제의 에너지를 증폭시키는 역할을 했다. 팬들과 관객들이 함께 QWER의 응원법을 따라 부르며 공연에 적극적으로 참여하는 모습은 축제의 화합과 열기를 더욱 끌어올렸다. QWER의 무대는 음악뿐 아니라 팬과의 호흡을 통해 축제 전체에 특별한 기억을 남겼으며, 관객들에게도 깊은 인상을 남기는 시간이 되었다.

 

이러한 다양한 공연들이 어우러지며 축제는 더욱 다채롭고 즐거운 시간이 되었다. 관객들은 무대마다 새로운 감동을 느끼며 소중한 추억을 쌓았고, 이번 공연은 참가자와 관객이 하나 되어 만들어낸 잊지 못할 순간으로 기억될 것이다.

 

 

올해 우리대학 우암 대동제는 열정과 참여, 그리고 화합이 어우러진 뜻깊은 축제였다. 학생들과 시민이 함께 웃고, 노래하고, 열광했던 순간들은 단순한 축제를 넘어 모두의 기억 속에 오래도록 남을 소중한 추억이 되었다. 공동체가 함께 만들어낸 이 축제는, 앞으로도 더 많은 이들에게 설렘과 기대를 안겨줄 우리대학의 자랑스러운 전통으로 이어질 것이다.

파일

담당자 정보